728x90
반응형

기타 6

비전공자 무료로 혼자 코딩 공부하는 법(광고 X)

프로그래머가 꼭 컴퓨터 공학을 전공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컴공과에서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배우기 때문에비전공자도 전공자처럼 컴공 커리큘럼에 따라 공부를 한다면 전공자 비슷하게는 될 수 있을 것입니다.당연히 수업 이외의 부분에서도 배우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완벽하게 따라잡기는 어렵겠지만 말이죠. 제가 추천 드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1) 훌륭한 대학에서 공개한 커리큘럼을 확인한다.2) 훌륭한 대학에서 공개한 강좌를 듣고 공부한다. 포항 공대 컴공과를 예로 들어볼게요.아래 링크를 가보시면 다양한 과목이 있는 것들을 알 수 있습니다.https://cse.postech.ac.kr/bachelors-degree/undergraduate-course/ 학부과정 – POSTECH 컴..

기타 2024.12.04

Ubuntu(우분투) 24.04 telegraf 설치 방법

현재(2024.08.29) 시점, 우분투 24.04 에서 apt 명령어로 telegraf 를 설치하려고 하면, 위험하다고 하면서 설치가 안 됩니다.$ sudo apt install telegrafThis revision of snap "telegraf" was published using classic confinement and thus may        perform arbitrary system changes outside of the security sandbox that snaps are usually        confined to, which may put your system at risk.        If you understand and want to proceed repeat t..

기타 2024.08.29

개발자들이 잘 못 이해하고 있는 C/C++ 배열의 의미

C/C++ 에서 배열을 처음 배우면, 이런 말을 많이 듣습니다. "배열의 이름은 해당 자료형의 포인터 타입이다" 이게 무슨 소리냐 하면, 아래와 같이 arr 이라는 변수를 선언하면, arr 은 int* 타입이라는 것입니다. int arr[5] = {1, 2, 3, 4, 5}; 결론부터 말하자면 틀렸습니다. arr 은 int* 타입이 아닙니다. 다만, 워낙 많은 강사와 유튜버, 책 등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기에 이게 다들 맞는 줄 잘 못 알고 있습니다. 저도 사실 처음에 이렇게 배웠고, 해당 명제가 틀렸다는 사실을 알기까지 꽤나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럼 int arr[5] 라고 선언하면, arr 은 무슨 타입일까요? int[5] 타입입니다. 풀어서 쓰자면 "int 타입이 5개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

기타 2023.01.26

개발자들이 흔히 잘 못 사용하는 용어

1. 수행하다. execute 를 "수행한다"고 말하는 개발자들이 꽤 있습니다. "수행하다"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알겠지만, execute 와 수행하는 것은 큰 관련이 없습니다. 번역을 한다면 "실행한다" 라고 해야 될 것입니다. 2. dependency 영어 사전을 찾아보면 dependency 와 dependence 는 동의어입니다. 따라서 어떤 단어를 쓰더라도 그 의미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 단어는 용어이기 때문에 dependence 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전공 서적을 보면 dependency 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건 잘 못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고 번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cache coherence 와 memory consistency ..

기타 2022.09.06

CSE top conferences

CSE(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에서는 journal 은 별로 인정하지 않고, conference 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학회(conference)는 너무 많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좋은 학회가 바뀌기 때문에 어떤 학회가 좋은 학회인지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에서는 다음과 같이 top conference list 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는 어떤 학회가 좋은 학회인지 판단하는 하나의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cse.snu.ac.kr/node/29041

기타 2022.08.23
728x90
반응형